Fade in의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당연히 Asset 사용일테지만 그 외의 방법을 한번 알아보려고 하였다. Canvas Group을 사용하면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. Fade in 이란 Alpha가 0에서 서서히 1로 되는 효과를 말하기에 우리는 그것을 바꿔만 주면 되는 것이다 코드에서 CanvasGroup 컨포넌트를 불러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루 alpha 값을 증가시켜주면 끝 오프닝에 많이 사용할 수 있을만한 Fade in기능이 완성되었다.
프로젝트를 마치면서 내가 쓴 코드를 보니까 정리가 하나도 안되어 작성한 나도 보기 힘들어 전부는 아니지만 한번 정리를 해보기로 했다. 별기능이 없었는데.... 한 파일 978줄....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 파일을 쪼개보기로 하였다. Program.cs에 있는 코드를 Item.cs / Dungeon.cs / Player.cs 로 나누어 주었다. Program.cs에 선언한 List 이름 앞에 각 파일 안에 들어가 있는 클래스 이름을 붙여주었다. 결과물은 바뀐 것이 없으나 그래도 파일들 정리를 '조금'이라도 해보았다. 처음부터 파일을 나누고 했더라면 좀 더 알아보기 쉽고 찾기도 쉬웠을 것이다. 이번 작업으로 처음 설계가 중요하다라는 것을 다시 깨닫았다. 정말 조금만 나눴는데 200줄이 줄었다 시간이 좀 더 있었으면 기능 별 파일을 만들어서 나누었을 것 같은데 아쉽다.
개인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마무리가 되어 이제 git에 업로드 및 업데이트를 하려고 하였지만 vscode와 달리 command 콘솔창의 사용법이 달라 조금 헤메였다. 환경창에 git이라는 항목이 있다 처음에 Git 리포지토리를 만들기를 들어간 후 내 git 계정과 연결을 해준다. 그 후 gitdp 레파지토리를 초기화를 하게 되면 깃에 아주 잘 올라가는 것을 확인 하였다. 두번째로 그러면 업데이트(push)는 어떻게 하는 걸까? 나는 깃 명령 프로토콜을 실행하여 진행하려 하였으나 "git은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" 라는 문구가 나를 가로막았다. 내 컴퓨터에 git이 설치가 되지 않아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다운 받았다. https://git-scm.com/download/win 작동을 확인 후 dev 브랜치를 만들어 똑같이 add -> commit -> push를 해주었다. 업데이트를 확인하였다. 이번 경험을 통하여 git desktop이 아닌 visual studio에서 직접 git에 업로드 및 업데이트를 하는 방법을 터득하였다. 다음 팀원들과의 협업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.
댓글
댓글 쓰기